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이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후 실수요자들이 규제를 피한 수도권 아파트 경매 시장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. '풍선효과 기대심리'가 작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, 규제지역인 서울 강남권에서는 여전히 높은 경쟁률과 낙찰가율(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)이 이어지는 등 투자수요도 꾸준한 모습이다.
2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'10·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'을 발표한 지난 15일 경기도 고양법원에서 경매에 부쳐진 아파트 매물 총 15개가 모두 새 주인을 찾았다. 고양시(9개)·파주시(6개) 소재 아파트가 이날 만큼은 낙찰율 100%를 기록한 것이다. 통상 경기도 아파트의 평균 낙찰율이 40~50%대 수준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례적이다.
한 건 당 최대 13명이 몰리는 등 응찰자 수도 적지 않았다. 13명이 참여한 고양 덕양구 화정동 별빛마을 84㎡는 감정가 7억500만원, 최저가 4억9350만원이었지만 낙찰가는 6억5668만원(낙찰가율 93.15%)이었다. 이 단지는 대책 발표 직전인 지난 13일 7억2500만원에 거래된 바 있다. 낙찰자는 시세 대비 약 7000만원 낮은 가격에 집을 매입한 것이다. 이후로도 규제를 피한 경기 화성시 동탄, 수원시 권선구·영통구 등에도 관심이 집중됐다. 이날 진행된 화성시 석우동 동탄예당마을 우미린제일풍경채 112㎡ 경매 응찰자는 22명이었다. 매각가는 9억8630만원으로, 최고가 8억9000만원(2021년 6월)을 훌쩍 뛰어넘었다. 지난 17일 화성 청계동 동탄역시범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 84㎡는 8억9000여만원에 낙찰됐는데 14명이 응찰했고 낙찰가율은 117%에 달했다.
이들 지역 모두 서울·경기 규제지역과 맞닿아 있거나 인접하지만 10·15 대책에서 규제를 피한 곳이다. 최근 풍선효과가 예상되며 부동산 관심지로 급부상하면서 경매 수요자들의 관심도 부쩍 늘고 있다. 다만 투자수요보다는 실거주 등 실수요자들의 관심에 한정돼 있다는 관측이다.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"아직 낙찰가가 두드러지게 오르고 있지는 않으며 투자자 입장에서 눈을 외곽으로 돌릴만한 시장이 본격화된 것은 아니다"라며 "실수요자들의 관심으로 볼 수 있다"고 설명했다.
한편 서울 주요 지역에서는 여전히 100%가 넘는 높은 낙찰가율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. 15일 양재초등학교 '초품아'인 서초구 양재우성아파트 84㎡에는 11명이 몰려 낙찰가율이 127%(20억5900만원)에 달했다. 20일 송파 거여동 포레나송파 소형(66㎡)에는 무려 59명이 응찰했다. 매각가는 14억원으로, 낙찰가율은 121%였다.
경매로 주택을 매입할 경우 토허구역이더라도 허가와 실거래 의무 등 규제를 피할 수 있다. 6·27 대출규제 이후 경락잔금대출이 6억원으로 제한됐음에도 소유권 취득 후 바로 임대나 매매가 가능해 규제지역의 경매 시장은 당분간 뜨거울 전망이다. 이 선임연구원은 "강남3구에서는 경매시장 추세가 규제 발표 후에도 동일하게 이어지고 있다"며 "서울 성동·마포 등에서 주요 물건이 아직 안 나왔지만 이들 역시 수요가 유지되고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"고 전했다.